plc 자격증 대해서
-
메카재민
- 484
- 7
PLC 기종 | Q시리즈 미쯔비시 맥셀 |
---|
plc 미쯔비시 Q시리즈 쓰는데 뭔가 대학에서 배우는데 시퀀스은 이해가되긴하는데
도대체 언제쯤돼야 혼자서 기초적인 명령어을 짜고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자격증을 회득할 수 있을까요?
자격증은 공고때 밀링,조립,승강기 가지고 있는데 뭔가 plc유튜브 보고 공부하라고 하는데 이해가 안되네요.
아직 명령어도 pls,plf,t,st,bkrst밖에 안배웠네요.
저도 막 엔지니어의 삶을 살아보라고하는데 역시 기술로 돈 먹고 살기 힘들네요
Comment 7
저도 2010년 쯤에 생산자동화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하고 현업을 하는데 자격증 시험칠때는 시험 장비에 이미 배선이 결정된 상태라 유튜브나 최신 시험 장비에 대한 로직이나 루틴이 이미 결정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자격증은 그냥 PLC 라는거 배우기는 했다는 근거일 뿐입니다. 그냥 루틴을 외워서 자격증 취득후 진짜 엔지니어로 배우고 싶다면 설비 제작 업체어서 배우는 것이 가장 빠르게 배우고 최신 기술 트랜드 배우는 좋은 방법중 하나 입니다. 단점은 말씀안해도 잘 아실것 같네요. 주변에 봐서도 요즘에 젊은 친구가 PLC 하는 경우가 많이 없네요.. 실력을 키워서 나중에 해외로 가는것도 좋은 방법이죠. 요즘 미국은 PLC 와 영어가 가능 하다면 연봉 10만불은 그냥 넘을수 있어요. 참고로 저는 현재 미국 거주 중 입니다. 여기 한국 회사들도 요즘에 PLC 와 영어가 가능 한 조건에서 엔지니어 연봉 10만불 이상 받아요.
회사 들어가서 경험 쌓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것과 회사에서 배우는거랑은 완전 달라요.
학교에서 배우는것과 회사에서 배우는거랑은 완전 달라요.
회사 들어가서 배우면 금방 배워요 ㅋ
맞습니다 회사 들어가면 다 가르켜 줍니다 ㅋㅋㅋ
프로젝트 맡아서 공부하면서 만들어보는게 제일 빠르더라구요~ 저도 졸작할때 많이 늘었던거같아요
자격증만 국한되어 말씀드리자면 일단 솔리드웍스등 인벤터등 3d 모델링 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해야합니다. 시험장마다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다르긴 한데 개인놋북으로 따로 프로그램 설치해 시험볼수 있습니다. plc시험은 거의 멜섹을 볼거같은데 터치 패널 hmi 작화 할수 있는거랑 gx works2 정도 가지고가면 되고요 서보모터 제어해서 창고에 저장하는거 정도만 하면 됩니다. 저는 인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봤습니다.
회사 들어가서 소형 규모의 프로젝트 진행 하시면 금방 늘어요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access. Sign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