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6
  • 코주부
  • 조회 수 791

◆'수평적 조직' 추구하는 IT업계= 네이버는 위계 중심 조직에서 '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사' 직급이 사라지면서 프로젝트나 셀을 이끌던 임원들은 '리더'로 남게 됐다. 네이버에서는 임원 뿐 아니라 부장급 이하 직원들에게도 직급이 없다. 호칭은 모두 '님'으로 통일한다. 이사 직에 해당하는 이들에게 주던 차량이나 독립적 근무공간, 회원권 등의 혜택은 없애고 그에 해당하는만큼 연봉에 포함시켜준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사 직급을 없앤 것은 조직의 유연성을 키우고 기민하게 움직이기 위해서 만든 조치"라며 "'이사'와 '리더'는 호칭에서부터 주는 거리감이 다르고, 이사가 아니어도 할 수 있는 일을 맡긴다는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업무절차를 최소화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구조로 조직을 변화시켜온 네이버의 또다른 결정이다. 지난해 네이버는 조직장에게 예산에 대한 책임을 주는 '책임예산제'를 도입했다. 그외에도 휴가나 출장, 외근, 비품 신청 같은 결재도 본인이 승인한다. 출퇴근 시간을 정하지 않는 '책임근무제'도 운영 중이다. 

카카오는 이사나 부사장 등의 직급은 남아있지만 임원과 평사원 구분 없이 모두 정규직이다. 임원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복지혜택도 없다. 호칭도 수평적이다. 부장, 과장, 사원이라는 직급 호칭 대신 영어 닉네임으로 부른다. 직원들은 임지훈 대표를 '대표님' 대신 닉네임인 '지미'라고 부른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에서는 모두가 직급이 같고 정규직으로 채용하기 때문에 고용은 안정적으로 유지하되 별도의 복지 혜택 등을 제공하지 않는다"며 "호칭만 수평이 아니라 신분도 동일하게 유지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자율성 강조하지만 …야근은 잦아 = IT업계는 제조업이나 서비스업과 비교해 연차나 권위보다 실력으로 평가받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다른 업종에 비해 근속연수나 정년이 훨씬 짧다. 국내 주요 상장사의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11년이지만 네이버는 평균 5.3년, 엔씨소프트는 4.9년에 그친다. 개발자들의 경우 연차보다 실력으로 평가받는 분위기가 자리잡혀 있다. 바꿔 말하면 그만큼 경쟁이 심하다는 의미다.

IT기업들이 위계를 없애는 것도 실력으로 평가하는 기업문화를 강조하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IT업계는 타 업종에 비해 변화가 빠르고 적응하지 못하면 곧바로 도태된다는 위기의식이 크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매일 아침 가장 두려운 스트레스는 새로운 기술이 나오는 것"이라며 "(IT 서비스는)국경이 없고 시간 제약이 없어서 (이용자가) 바로 써보고 이동할 수 있는데 그런 상대들과 어떻게 싸울지 고민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을 정도다.

*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277&aid=0003911665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6

장인
잘 보았습니다.
comment menu
2017.02.14. 21:10
허지
감사합니다
comment menu
2017.06.05. 23:41
태양이
잘 보았습니다.
comment menu
2017.06.27. 17:54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