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1
  • 푸들
  • 조회 수 4802
□ 용가재(filler metal or filler material) 
용접 시 용착금속이 되도록 용융시킨 금속(재료) 

□ 용락(burn through or melt through) 
아크의 발생에 의해 형성된 용융금속이 그루브의 반대측으로 녹아 떨어지는 현상. 루트 
간격이 너무 크거나 입열량이 과대한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 용융(fusing) 
용접금속이 되기 위한 용접재료와 모재 또는 모재만의 용해 현상 

□ 용융금속이행(transfer of molten metal) 
용접 시 용가재의 끝이 용융하여 유동성이 좋은 액체금속으로 되어 용융지(weld pool or 
molten pool)로 옮겨가는 현상. 용적이행이라고도 한다. 

□ 용융선(fusion line) 
용융금속과 모재 사이의 경계선 

□ 용융지(weld pool or molten pool) 
아크 또는 화염 등의 열에 의해 금속의 일부가 용해하여 만들어진 용융금속이 고인 것 

□ 용입(penetration) 
모재가 용접열원에 의하여 깊이방향으로 녹아 들어가는 현상. 용입깊이(용접면에서 용융 금속의 밑부분까지의 깊이)를 지칭한다. 부분용입과 완전용입으로 나뉜다. 

□ 용적(droplet) 
용접봉 또는 와이어 선단의 용융된 부분이 분리되어 모재로 이행하는 용융상태의 금속입자로서 봉 또는 와이어의 직령보다 작은 것을 말한다. 

□ 용접금속(weld metal) 
용접 중에 용융, 응고한 금속. 용융된 모재의 일부분과 용착금속과의 융합된 부분을 말한다. 피복아크용접이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미그(MIG)용접 등과 같이 용가재를 사용하는 용접에서 용접금속은 용가재가 용융한 용착금속(deposited metal)과 모재가 용융한 용융부(fusion zone)로 구성되나, 저항용접이나 가스용접, 티그(TIG)용접과 같이 용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용접금속은 용융부만으로 구성된다. 

□ 모재(base metal, parent metal) 
용접 또는 절단 가공의 대상이 되는 재료. 열에 의해 조직상의 열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 

□ 용접부(weld zone) 
용접금속 및 열영향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총칭. 

□ 열영향부(heat affected zone : HAZ)) 
용접이나 열 절단의 열로 금속조직이나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나 용융하지 않은 모재의 부분을 말한다. 조직이 변화무쌍하여 조립역, 세립역, intercritical역 등으로 구성되며, 열에 의한 경화로 인해 취약해지기 쉬우며 인성의 저하 등 용접부의 주 균열발생 지역으로 매우 중요하다. 

□ 열 가우징(thermal gouging) 
금속이나 비금속 재료를 열로 녹여서 홈파는 것 

□ 용접봉(welding rod) 
봉상의 용가재를 의미한다. 심선에 피복제를 도포한 피복용접봉과 피복을 하지 않은 나(裸)용접봉이 있다. 

□ 용접 플럭스(welding flux) 
용접 시 작업을 쉽게하고 용융금속을 대기로부터 차단시켜 산화 및 질화를 방지하며 용융지에 대한 정련작용과 합금첨가 등을 위해 사용하는 분말상 또는 페이스트(paste, 반죽) 상의 재료를 말한다. 심선의 외부에 도장되던가, 튜브상의 관에 충진되어 공급되던가, 혹은 미리 용접선 위에 살포되거나 도포되어 사용된다. 

□ 용접 와이어(welding wire) 
용접에 사용되는 코일 모양으로 감겨있는 길고 가는 금속선. 전극 또는 용가재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역할에 따라 분류된다. 

□ 용접 전극(welding electrode or electrode, tip) 
아크용접 또는 저항용접에서 전류를 직접 흘려주는 부분. 피복아크 용접에서는 용접봉의 심선이 TIG 용접에서는 텅스텐이 가스메탈아크 용접에서는 아이어가 전극이 된다. 또한 저항용접에서는 캡 형상, 원판상의 전극을 사용하기도 한다. 

□ 용접선(weld line) 
긴 용접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낼 때의 가정선. 거시적으로 용접부를 대표하며 용접축과 같이 엄밀한 의미는 없다. 

□ 용접축(weld axis) 
용접선에 직각인 용접부 단면의 중심을 지나면서 그 단면에 수직인 선. 

□ 용접퓸(weld fumes) 
용접 또는 열 절단 시의 열에 의하여 증발한 물질이 산화 응집한 고체 미립자. 입경은 대략 0.05-0.3μm이며, 조성은 주로 금속의 산화물 등이다. 

□ 용접 후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 PWHT) 
용접 후 주로 잔류응력 및 열영향부의 조직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열처리. 

□ 개재물(inclusion) 
금속 조직에서 기지조직과는 상이한 형태 및 결정구조를 갖고 존재하는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탄화물 등의 총칭. 용접부에서는 편석물 또는 슬래그 등이 혼입되어 개재물을 형성하며 용접균열의 발생과 전파를 조장한다. 

□ 기공(porosity) 
용접금속 내부에 생성되는 공동(空洞)을 말한다. 가스포켓(gas pocket)이라고도 한다. 용융금속 중의 다량의 수소가 응고 시 용접금속내로 방출될 때, 또는 탄소가 산화물과 작용하여 Co가스를 만들고 그 가스가 용접금속의 내부에 잔존 또는 방출 중 응고할 때 발생한다. 

□ 비드(bead) 
용접선을 따라 실시하는 1회의 용접작업 또는 그 궤적을 패스(pass)라고 하며, 1회의 패스로 만들어진 용접금속을 비드라고 한다. 

□ 불활성 가스(inert gas)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기체. 용접 시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에는 Ar과 He이 대표적이며 용용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GMAW와 GTAW가 대표적인 사용 예이다. 

□ 스패터(spatter) 
용융금속 중 용융금속의 미세한 입자가 주위로 튀어나가는 현상. 일부가 모재에 고착하여 외관을 해치고 자동화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 슬래그(slag) 
금속을 용해하거나 용접 시에 플럭스와 반응하여 생긴 융점이 낮은 비금속물질. 주로 플러스 중의 Al2O3, SiO2 등의 산화물, 불화물, 탄산염 등이 주체이며 이들이 용융과 분해, 화학반을을 일으키면서 전부 또는 일부가 슬래그가 되고 나머지는 대기중으로 방출 또는 용접금속의 합금원소로 된다. 용접 시 슬래그는 용접비드면을 덮게되어 용접금속을 보호하며 급랭을 방지한다. 

□ 심선(core wire or core rod) 
피복아크용접봉의 중심에 있는 금속선. 전극의 역할을 하며 아크 발생 및 유지 역할을 한다. 

□ 예열(pre heating) 
용접 또는 가스절단 작업전에 미리 모재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 열영향부의 경화를 완화 또는 용접부의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목적이다. 모재가 피두께가 10mm 미만 일 때 불필요하다.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1

1등 kono215
기사공부하면서 배웠던것들이네요!
comment menu
2019.10.28. 12:20
권한이 없습니다.